HOME   -   SITEMAP  
운영자게시판 질문게시판(국악음반) 방명록 광고게시판

/

쉼터  
국악음반-업데이트 기준 | 출반현황 음반 구입처 안내 나의글들 정창관
2025년신보 | 2024 | 2023 | 2022이전 | 모든음반
음반 관련정보 외
국악음반 | 고전음악 | 별에 관한글 | 기타
운영자소개 | 나에 관한 기사들
 
 

음반명[부제포함] 지미자 <가야금산조와 병창>-성금연류-
음반 번호 TOPCD-105 , CD 1 매
제작 / 기획사 예술기획탑
발매 연도 2006
구 분 일반반
분 류 산조
업데이트 일시 2006-04-08
비 고
* 영국도서관 기증(2006.8.3.) * 미의회도서관 기증(2006.8.11.) * 2011년 6월 7일 베트남 호치민 국립대학 한국학과 기증.



 
지미자 <가야금산조와 병창>-성금연류-

■ 가야금산조 56:38
1. 다스름 01:02
2. 진양조 29:52
3. 중모리 08:40
4. 중중모리 02:22
5. 굿거리 03:40
6. 자진모리 07:21
7. 휘모리 03:36

■가야금병창 : 춘향가중에서
8. 천자뒤풀이 04:28
9. 사랑가 08:23 총 69:31

* 가야금:지미자. 반주:북/김명환(1913~1989, 국가지정 중요무형문화재 판소리고법 기능보유자)
* 녹음 / 녹음:1982년12월10일 국립극장 소극장(달오름극장) 연주실황
* 해설 / 山汀 지 미 자
* Director / 양정환 (음제1442호) / ⓟ&ⓒ: Yang Jeong-hwan, www.gugakcd.com
* Cover Design / Musong

* 김명환(金命煥)
김명환(호:일산一山)은 1913년5월2일 전라남도 곡성군 옥과면 무창리 809번지에서 부친 김용현과 모친 명사현의 5남8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1978년 2월2일 국가지정 중요무형문화재 제59호 판소리고법(현재는 제5호 판소리로 통합) 최초 기능보유자로 인정받아 활동하시다 1989년 4월 5일에 타계하셨다.
 
* 성금연 선생의 따님이신 지미자 선생의 첫음반이다. 1982년 실황녹음으로 제작한 음반이다. 죽파 선생의 음반만 계속 출반되는 가운데 오래간만에 듣는 성금연류 산조이다.(2006.4.8)
 
* 해설서에서 :

성금연류 가야금산조

성금연 선생님은 일평생 끊임없는 학습을 통해 가야금 집대성에 전력을 다하여 왔음을 직접 눈으로 보고 몸으로 느끼며 살아왔습니다. 어머니와 딸의 관계이기 전에 스승과 제자로서 마주 대해야 했던 그 많은 시간들 속에 성금연 산조의 흐름을 지키며 따라 왔음을 어찌 보면 필연의 과정이 되었던 듯 싶습니다.

옛 어르신들로 지금은 작고하시고 안 계신 문화재 여러 선생님들이 모두 그랬듯 어느 한 부분의 일가를 이루기 위해선 그 인접 예술 세계를 반드시 섭렵해야 했던 그 시절에 악, 가, 무에 두루 능통하셨던 성금연 선생님께서는 가야금이 안고 있는 그 한계성과 음역의 공간을 모두 처리 활용하여 더 이상의 "가야금 소리"를 가락으로 품어 낼 수 없는 경지에까지 도달 시켰음은 두 말할 필요가 없습니다.

시작에서 끝까지 숨 한번 쉬지 않고 한 시간을 담아내는 산조 한바탕은 그 야말로 치밀히 짜여져 調놀음이 분명하고 장단의 짜임새가 확고하여 두 번 다시 갖다 쓰는 가락이 없고 <기,승,전,결>이 가락 구성을 정확히 사용, 그 음계 음정을 분명히 그려 내므로 흔히 산조가락에서 보이는 모호성과 애매성을 일거에 해소시키셨습니다.

짧으면 5분에서 7분, 20분, 30분, 45분 그리고 60분으로 편집하여 연주해도 그 구조와 장단의 배열이 무리가 없을 만큼 자유 자재한 산조 한바탕의 짜임은 앞으로 많은 음악학적 규명의 연구가 필요합니다.

성금연산조의 특기할 만한 대목은 "굿거리" 장단의 가락 짜임새 부분인데 중중머리 장단과 박자의 수는 같으나 그 느낌과 시김새는 전혀 다르며 어느 산조부류에서도 이 장단의 가락 짜임이 없기 때문에 산조발달사의 역학적 조사 연구가 필수입니다.

부족하나마 성금연 선생님의 가락을 전승, 보존해 가는 위치에서 앞으로 많은 숙제들을 해결해 나아가야 할 것이며 가야금 주자로서 명실공히 아낌없는 노력을 다해 후일 부끄럼 없는 연주자가 되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병술년 삼월
山汀 지 미 자


성금연의 예술세계

가야금의 명인 성금연(故, 成錦鳶 본명 육남六男)선생은 1923년 4월 1일(음) 전남 담양에서 태어나시어 광주에서 자랐다. 연주가로서 교육자로서 60년대 이후 가야금산조의 지도서로 불릴 만큼 당시 대중적 인기와 독보적 위치를 한 몸에 지녔고, 마침내 1968년 국가지정 중요무형문화재 제23호 최초의 가야금산조 기능보유자로 지정되는 영광을 누리시며 일세를 풍미했다. 이후 1974년 미국으로 이주하여 활동하시다 1986년 7월 29일 하와이에서 별세했다

경기 충청권을 아우르는 성금연 선생의 음악 세계는 문자 그대로 중부권 특색의 음율을 전하고 있다. 멀리 남도에서 출발한 음악적 기법은 초기에 잠깐 비취다 지영희(故, 池暎熙 1909~1980)선생과 음악적 결합을 이루며 점차 중부권 특색을 착색 시켜온 음악세계는 참으로 눈부시게 발전해 많은 가야금 창작곡과 무용곡, 병창까지 두루 남기셨다. 여성들만이 갖출 수 있는 섬세함으로 가야금이 누릴 수 있는 온갖 신비함과 오묘함을 가락으로, 농현으로 뿜어내는 성금연 선생의 예술세계는 일제식민지시대의 암울한 그림자를 전혀 개의치 않고 자유분방하면서 화려해 듣는 이로 하여금 흥분감을 느끼게 한다.

대가족의 많은 자식을 낳아 기르는 어머니이자 아내로, 예술가로서 폭 넓은 활동을 하셨던 성금연 선생은 인생의 도(道)를 찾아 가야금을 열었고 가야금 가락 가락으로서 더 많은 감정의 폭을 가르고 기리셨다. 뜨거운 가슴에, 냉철한 머리로 사색의 늪을 지나며 정교히 짜여져 나온 가락들이 손 마디 마디를 통해 가야금 줄을 조이고 풀고 타면서 이상과 현실을 넘나 들 때 세상은 숨죽이며 침묵했었다. 이제 그 분은 가셨고 그 뒤를 인생의 후학이 되어 그 분의 발자취를 따르며 한 발 한 발 더욱 더 완성된 성금연 선생의 예술세계를 향해 혼신의 힘을 다 해야겠다.

부군되신 지영희 선생이 타계하시고 미국 본토의 자녀들에게 그 슬픔을 전하고자 만들어진 중머리 장단의 30분짜리 창작곡 "눈물이 진주라면"의 경우 평계면을 바탕으로 잔잔히 흘러가는 곡인데 이제까지 품어내던 충청 경기 중부권의 음색이 아닌 저 멀리 남도가락의 향내가 물씬 베어있음은 강한 충격을 던져주고 있다. 태어난 곳을 향해 찾아가려는 인간의 강한 본성, 세월의 흐름은 비켜갔어도 그 본질은 못 바꾸는 것 같다.


지 미 자

학력사항

1960 서울교동초동학교 졸업
1967 성만여자중·고등학교 졸업
1968 서라벌예술대학 응용미술학과 1년 수료
1990 베뢰아 아카데미 성경연구원 17기 2년 수료
1992 서울침례신학교 기독교교육과 4년 신학사 이수
서울침례신학교 신학 연구원 2년 수료
캐나다 크리스쳔 대학원 대학교 신학석사(MDIV) 취득
2003 미국 앨리버마 크리스쳔 베다니 신학 세미나리
2004 교육, 신학 박사 과정 중

경력사항

1954 인간문화재 故 지영희선생(72호)으로부터 승무 및 살풀이 한국춤 기본무와 음악수업시작
인간문화재 故 성금연 선생(23호)으로부터 가야금산조 및 가야금 병창시작
1969 성금연 선생의 가야금산조 본격 수업
1970 성금연가야금연구소 조교역임.
1971 충주예고예술제 지도강사 역임(가야금병창)
1972 김천흥무용연구소에서 궁중기본부와 무용외 다수 사사
1973 김제국악원 가야금산조 강사역임
1974 국악예술학원 강사역임
1975 성금연가야금 병창과 가야금 독주곡 이수
1976 故 박귀희 선생으로부터 가야금병창 수업
1977 홍콩, 아시아 예술제 참가 및 동남아 5개국 순회연주
1978 제일교포 위문 공연 및 연주활동
1979 국립국악원 민속예술 연주단 입단
성우향 선생으로부터 판소리 춘향가 수업
1980 성금연류가야금산조 발표회 개최(국립극장)
인간문화재 판소리고법 59호 故 김명환 선생으로부터 판소리 고법 사사
1981 예술기획 ‘산출사’ 대표 역임
국악의 실내악 소극장 운동전개, 국악인구 저변확대에 힘씀.
1982 I. P. U 등의 국제 행사 및 한복 연구가들과의 음악적 조화를 새롭게 시도
국악의 상품적 가치 개발과 각종 모임에 국악연주 보급
1983 극단 뿌리 ‘황진이’, ‘달집’ 등 다수의 연극음악 담당
1984 사단법인 판소리보존연구회 상임이사 활동 및 판소리 기본의 음악학습 수업
1985 전주대사습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연속 4회 수상
일본과 한국 전통음악 교류연주 및 캐나다 국제 민속 예술제 4 도시 참가 연주
1986 베를린 국제 음악제 참가
독일, 네덜란드, 노르웨이, 핀란드 등 북유럽 순회공연 및 국립국악원 상설 소극장 민속악 부문 연주 다수
1987 전통음악 연주회 개최 및 대통령 선거 참가
1988 FM 국악무대 출연으로 음악활동과 함께 정당생활 시작
1989 ‘월간객석’과 함께 국악 소극장 무대 상설개최
1990 성금연류 가야금산조 연구실 개설 제자 양성
1991 월간 객석 주최 가야금 산조 여섯 바탕전 참가
성금연류 가야금산조 발표회 가짐
1992 신학교 수업 시작, ‘음악과 신학사이의 관계 정립’
1993 ‘종합컨설팅연구소‘ 개설로 다양한 정치문화 연구 활동
1994 사단법인 ‘대한전통예술보존회’ 부이사장 취임
1995 일본, 오끼야마현 유시마도, 와게, 요시나가 하나세 향토 민속보존육성회 행정연수 공연 참가
1996 ‘한국민속예술연구원’ 주최 운현궁의 밤 공연 참가
1997 푸른 버들의 멋 일본 동경 공연(동경 SPACEY 문화센터)
1998 한미 연합 친선의 밤 가야금 독주
1999 일본 오사카 컨텍스 예술극장관서 한민족 전통예술 협회 재일동포 위문공연
2000 국립민속박물관주최 우리민속 한마당 참가 공연
2001 푸른 버들의 멋 제 22회 푸른버들 예악원 정기공연 참가(국립국악원 예악당)
2002 유향춤과 양성옥의 무대 ‘참가공연’ (국립국악원 예악당)
영암의 옛모습 찾기 시리즈 영암군 소재 도갑사 - 도선국사 성보관 개관식 축하공연
외교통상부 국제문화교류재단주최 미국, 영국, 프랑스 등 40여개국 예술메니아 박물관큐레이터 40인을 위한 초청 공연 참가
한국경제인 연합회에서 주관하는 대구 밀라노 섬유 프로젝트 축하공연 참가
패션산업의 육성 및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여성 경제인 대회 참가
세계속의 우리음악 축하공연 참가(하얏트컨벤션)
영암 전통문화 찾기 매월 상설공연 1년간 진행(영암 달빛맞이 공연)
2003 종로 국악 1번지 종묘앞 ‘국악정’ 전통문화지킴이 행사를 위해 우영복지재단과 함께 인터넷 사이버 예술단 발족
2004 사단법인 ‘한국문화 발전 진흥회’ 부이사장
서울시의회 부의장 초청 연주 참가


GAYAGEUM SANJO AND BYEONGCHANG PERFORMED BY CHI MI-JA

PROGRAMME

The Seong Geum-yeon Ryu Gayageum Sanjo 56:38

01. Daseureum 01:02
02. Jinyangjo 29:52
03. Jungmori 08:40
04. Jungjungmori 02:22
05. Gutgeori 03:40
06. Jajinmori 07:21
07. Hwimori 03:36

Gayageum byeongchang: from 'Chunhyangga'

08. Cheonjadwipuri 04:28
09. Sarangga 08:23


- Accompaniment: barrel drum/ Kim Myeong-hwan
- Place of recording: live performance at the Small Theatre (Daroreum Theatre), Gungnipgeukjang
- Date of recording: 10 December 1982

Kim Myeong-hwan (1913-1989)

Kim Myeong-hwan (pen name is IlSan) was born on May 2 in 1913 at 809 Muchang-ri, Okgwa-myeon, Gogseong-gun, Jeollanamdo as the youngest of 13 children of Kim Yong-hyeon and Myeong Sa-hyeon. He was the first drum player who gained a title of 'gineungboyuja (means 'holder of skill') of the pansori gobeop (playing method for accompanying pansori by the drum) which was designated for Jungyomuhyeongmunhwajae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 no. 59 (currently it was integrated as the no. 5 pansori). He died on April 5 1989.
Best viewed with MS Explorer 5 at 1024x768 * Copyright ⓒ 2000 Changkwan Jung.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