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SITEMAP  
운영자게시판 질문게시판(국악음반) 방명록 광고게시판

/

쉼터  
국악음반-업데이트 기준 | 출반현황 음반 구입처 안내 나의글들 정창관
2025년신보 | 2024 | 2023 | 2022이전 | 모든음반
음반 관련정보 외
국악음반 | 고전음악 | 별에 관한글 | 기타
운영자소개 | 나에 관한 기사들
 
 

음반명[부제포함] <김영기 여창가곡 III>-둘째바탕-
음반 번호 TOPCD-064 , CD 1 매
제작 / 기획사 예술기획탑
발매 연도 2003
구 분 일반반
분 류 정가
업데이트 일시 2003-06-01
비 고
* 미의회도서관 기증(2006.6.7.) * 영국도서관 기증(2006.8.3.) * 2011년 6월 7일 베트남 호치민 국립대학 한국학과 기증.



 
<김영기 여창가곡 III>-둘째바탕-

1 우조 이수대엽 羽調 貳數大葉 Wujo Isudaeyeop 10:57
2 우조 두거 羽調 頭擧 Wujo Dugeo 06:01
3 우조 우락 羽調 羽樂 Wujo Wurag 05:55
4 반우반계 반엽 半羽半界 半葉 Banwubangye Banyeop 08:56
5 계면조 이수대엽 界面調 貳數大葉 Gyemyeonjo Isudaeyeop 10:17
6 계면조 평롱 界面調 平弄 Gyemyeonjo Pyeongnong 05:27
7 반우반계 환계락 半羽半界 還界樂 Banwubangye Hwangyerag 04:48
8 계면조 계락 界面調 界樂 Gyemyeonjo Gyerak 04:42
9 계면조 편수대엽 界面調 編數大葉 Gyemyeonjo Pyeonsudaeyeop 02:58
10 계면조 태평가 界面調 太平歌 Gyemyeonjo Taepyeongga 10:04
총 70:10

연주 : 김영기/노래, 김경배/남창, 강사준/해금, 신용문/대금, 이오규/거문고, 김관희/피리
안희봉/해금, 이두원/단소, 김정집/피리, 이지영/가야금, 김광섭/장구

·녹음 / 2002.11.8. 국립국악원 우면당 연주실황
·Director / 양정환 (음제1442호) / ⓟ&ⓒ: Yang Jeong-hwan
·영문 / 박일우
·Cover Design / Musong
·Manufactured by JIGU. 2003.5. Seoul, Korea

 
* 김영기 인간문화재의 3번째 음반으로 실황녹음이다.(2003.6.1)
 
<김영기 프로필>

1973~1980 중요무형문화재 제30호 가곡 전수장학생
1980 중요무형문화재 제30호 가곡 이수
1984~2001 중요무형문화재 제30호 가곡 전수조교
2001.11.30. 중요무형문화재 제30호 가곡 보유자 지정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및 동 대학원 졸업
·개인발표회 6회, 협연 다수
·KBS국악대상 수상(1982, 1992, 1999)
·월하여창가곡 보존회 회장
·(재)월하문화재단 이사
·원광대, 영남대, 한국예술종합학교 출강
·한국정가악연구원, 정농악회 회원
·KBS국악관현악단 부수석
·김영기여창가곡 CD I, Ⅱ 출반
·김영기여창가곡 CD Ⅲ 연주회 실황음반 출반

<연주곡 사설>

1. 우조 이수대엽 (羽調 貳數大葉)
간밤에 부던 바람에 만정도화(滿庭桃花) 다지거다.
아희는 비를 들고 쓸으려 허는고나
낙화(落花)인들 꽃이 아니라 쓸어 무삼 허리요

2. 우조 두거 (羽調 頭擧)
한숨은 바람이 되고 눈물은 세우(細雨)되어
임(任)자는 창(窓)밖에 불면서 뿌리과저
날 잊고 깊이든 잠을 깨워볼까 하노라.

3. 우조 우락 (羽調 羽樂)
만경창파지수(萬頃滄波之水)에 둥둥떴는 불약금 게오리들아
비솔금성 증경이 동당 강성 너시 두루미들아
너 떴는 물깊이를 알고 둥 떴는 모르고 둥 떴는
우리도 남의 임 거러 두고 깊이를 몰라 허노라.

4. 반우반계 반엽 (半羽半界 半葉)
담안에 섯는 꽃이 모란(牧丹)인가 해당화(海棠花)인가
해뜩발긋 피어 있어 남의 눈을 놀래는다.
두어라 임자 있으랴 나도 꺾어 보리라.

5. 계면조 이수대엽 (界面調 二數大葉)
황산곡(黃山谷) 돌아들어 이백화(李白花)를 것거쥐고
도연명(淵陶明) 찾으리라 오류촌(五柳村)에 들어가니
갈건(葛巾)에 술듣는 소리는 세우성(細雨聲)인가 허노라.

6. 계면조 평롱 (界面調 平弄)
한손에 막대를 들고 또 한손에 가시를 쥐어
늙는 길을 가시로 막고 오는 백발을 매로 치렸더니
백발이 제 먼저 알고 지름길로 오도다

7. 반우반계 환계락 (半羽半界 還界樂)
사랑을 찬찬 얽동혀 뒤 걸머지고
태산준령(泰山峻嶺)을 허위허위 넘어가니
모르는 벗님네는 그만허여 버리고 가라 허건만은
가다가 자질려 죽을센정 나는 아니 버리고 갈까 허노라.

8. 계면조 계락 (界面調 界樂)
청산리(靑山裏) 벽계수(碧溪水)야 수이감을 자랑마라
일도 창해(一到 滄海) 허면 다시 오기 어려워라.
명월(明月)이 만공산 허니 쉬어간들 어떠리.

9. 계면조 편수대엽 (界面調 編數大葉)?
모시를 이리저리 삼아 두루삼아 감삼다가
가다가 한가운데 뚝 끊쳐지옵거든 호치단순(晧齒丹脣)으로 홈빨며 감빨아
섬섬옥수(纖纖玉手)로 두끝 마조 잡아 배 부쳐 이으리라 저 모시를
우리도 사랑 그쳐갈 제 저 모시 같이 이으리라.

10. 계면조 태평가 (界面調 太平歌) 男唱 : 김경배
(이랴도) 태평성대 저랴도 (태평)성대로다.
요지일월(堯之日月)이요 순지건곤(舜之乾坤)이로다
우리도 태평성대니 놀고놀려 하노라.
Best viewed with MS Explorer 5 at 1024x768 * Copyright ⓒ 2000 Changkwan Jung.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