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SITEMAP  
운영자게시판 질문게시판(국악음반) 방명록 광고게시판

/

쉼터  
국악음반-업데이트 기준 | 출반현황 음반 구입처 안내 나의글들 정창관
2025년신보 | 2024 | 2023 | 2022이전 | 모든음반
음반 관련정보 외
국악음반 | 고전음악 | 별에 관한글 | 기타
운영자소개 | 나에 관한 기사들
 
 

음반명[부제포함] 조동일 교수 채록 <경상북도 구전민요의 세계>
음반 번호 NSC-061 , CD 9 매
제작 / 기획사 신나라뮤직
발매 연도 2002
구 분 일반반
분 류 민요
업데이트 일시 2002-08-18
비 고



 
조동일 교수 채록 <경상북도 구전민요의 세계>

CD-1 :
1. 극락가 3:20 2. 지신밟는 소리 0:09 3. 지게소리 0:59
4. 서사민요: 삼삼는 소리 5:39 5. 서사민요: 못 갈 장가 4:29
6. 장사치노래 0:50 7. 기생인물타령 2:06 8. 서사민요: 범벅타령(훗사나타령) 6:46
9. 망깨소리 8:49 10. 삼삼는 소리 1:30 11. 서사민요: 색시모래 2:50
12. 베틀노래 2:07 13. 여자탄 11:19 14. 꽃노래 1:37
15. 모심는 소리 0:33 16. 삼삼는 소리 1:47 17. 시집살이노래 2:54 총 58:26

CD-2 :
1. 자장가 1:03 2. 봄처녀 0:56 3. 삼삼는 소리 2:01
4. 물레소리 1:08 5. 삼삼는 소리 1:49 6. 메물노래 1:41
7. 시집살이노래 4:44 8. 베틀노래 3:44 9. 삼삼는 소리 0:36
10. 베틀노래 4:50 11. 꼬리따기노래 1:3712. 김서방네 맏딸애기 1:39 13. 김서방네 맏딸애기 2:14
14. 닐리리야 1:5015. 닐리리야 1:41 16. 성주풀이 1:0517. 생금생금 생가락지 1:34 18. 청춘가 2:20
19. 청춘가 2:14 20. 청춘가 0:51 21. 어사용 2:05 22. 모심는 소리 15:12 23. 모심는 소리 5:44 총 63:34

CD-3 :
1. 베틀노래 1:30 2. 한 살 묵어 어마이 죽어 0:50 3. 한 살 묵어 어마이 죽어 5:01 4. 이서방네 맏딸애기 3:35 5. 베틀노래 3:54
6. 못 갈 장개 2:597. 청춘가 1:458. 모심는 소리 0:41 9. 시집살이노래 0:42 10. 창부타령 0:40
11. 모심는 소리 1:52 12. 모심는 소리 3:32 13. 시집살이노래 4:39 14. 못 갈 장가 4:15 15. 댕기노래 2:05
16. 청춘가 0:37 17. 청춘가 0:40 18. 해방가 0:25 19. 메밀노래 0:51 20. 청춘가 3:28
21. 춘아 춘아 옥단춘아 0:43 22. 형님 형님 사촌형님 0:26
23. 부음이 왔네 부음이 왔네 3:51 24. 부음이 왔네 부음이 왔네 3:14 25. 부음이 왔네 부음이 왔네 0:35
26. 메밀노래 1:35 27. 어사용 2:07 28. 아라리 0:58 29. 어사용 3:45 총 62:29

CD-4 :
1. 모심는 소리 7:222. 객귀물리기 1:203. 한 살 먹어 어마 죽고 1:03 4. 한 살 먹어 어마 죽고 2:59 5. 생금생금 생가락지 0:37
6. 창가조(고국산천∼) 1:02 7. 부음이 왔네 부음이 왔네 3:41 8. 베틀노래 3:21
9. 이영철이 장개가네 7:00 10. 창가: 해방노래 2:00 11. 조덕선이 장개간다 1:39 12. 창부타령 0:32
13. 장개간다 장개간다 3:03 14. 토연 토연 김토연아 2:21 15. 쌍금쌍금 쌍가락지 0:34
16. 베틀노래 1:1017. 토연 토연 김토연아 4:07 18. 쌍금쌍금 쌍가락지 0:58
19. 강강수월래 18:05 총 63:39

CD-5 :
1. 육자백이 4:19 2. 형님 형님 사촌형님 0:15 3. 강강수월래 3:39 4. 형님 형님 사촌형님 2:02 5. 가사창: 명당풀이 5:43
6. 아라리 2:15 7. 베틀노래 0:56 8. 돈타령 1:42 9. 청춘가 1:3410. 새야 새야 뿌국새야 1:24
11. 가사 1:00 12. 창가 0:33 13. 삼삼는 소리 0:31 14. 가사창: 여탄가 2:37 15. 베틀노래 1:44
16. 한 살 먹어 엄마 죽고 3:3817. 정선아라리 4:41 18. 물레소리 3:30 19. 삼삼는 소리 4:07
20. 춘아 춘아 옥단춘아 5:38 21. 장기노래 4:31 22. 어사용 5:13 총 62:25

CD-6 :
1. 어사용 6:07 2. 창부타령 2:55 3. 한 살 먹어 엄마 죽고 3:11 4. 새타령 3:23 5. 흥부가 中 놀부 심술 대목 1:02
6. 한 살 먹어 엄마 죽어 5:20 7. 화투풀이 0:54 8. 베틀노래 3:15 9. 이사원네 맏딸애기 2:10
10. 이사원네 맏딸애기 2:59 11. 삼삼는 소리 2:23 12. 시집살이노래 2:35 13. 생금생금 생가락지 0:58
14. 꽃노래 0:55 15. 통연 통연 김통연아 1:48 16. 베틀노래 3:02 17. 제비노래 0:21
18. 갈람산 꾀꼬리야 1:27 19. 잔치노래 0:44 20. 자장가 0:24 21. 어선달네 맏딸애기 0:52
22. 춘아 춘아 옥단춘아 0:15 23. 춘아 춘아 옥단춘아 0:20 24. 베틀노래 1:36 25. 고사리노래 1:00
26. 수양대 양산복 1:19 27. 시집살이노래 0:36 28. 메밀노래 0:33 29. 첩노래 2:56
30. 한 살 먹어 어마 죽고 1:30 31. 달아 달아 밝은 달아 0:43 32. 달아 달아 밝은 달아 0:36
33. 시집살이노래 1:16총 60:43

CD-7 :
1. 시집살이노래 5:18 2. 메밀노래 2:12 3. 베틀노래 3:38 4. 첩노래 2:10 5. 생금생금 생가락지 0:56
6. 통연 통연 김통연아 1:28 7. 통연 통연 김통연아 1:23 8. 징검이타령 1:40 9. 징검이타령 3:52
10. 풀각시노래 1:22 11. 춘아 춘아 옥단춘아 1:29 12. 한 살 먹고 어마 죽고 4:22 13. 베틀노래 1:33
14. 베틀노래 2:2215. 성주풀이 1:02 16. 한 살 먹어 어마 죽고 1:01 17. 이사원네 맏딸애기 3:51
18. 이사원네 맏딸애기 9:52 19. 순임금의 맏딸애기 1:19 (통연 통연 김통연아) 20. 순임금의 맏딸애기 1:09 (통연 통연 김통연아) 총 62:56
21. 오구풀이 10:07

CD-8 :
1. 새야 새야 파랑새야 0:16 2. 총각아 처자야 0:21 3. 장끼타령 2:51 4. 시집살이노래 4:03 5. 한 살 먹어 어마 죽어 1:35
6. 이사원네 맏딸애기 2:43 7. 담배 씨 자라는 소리 2:05 8. 천수경 中 참회진언 0:43 9. 줌치노래 0:28
10. 배꽃일레 1:10 11. 여자탄 0:42 12. 회심곡 2:28 13. 우미인가 1:5414. 첩노래 0:51
15. 열두달노래 10:04 :초승·보름·그믐의소리 16. 모찌는 소리 0:4417. 송서: 전적벽부 1:05 18. 영제 시조창 2:51
19. 보리타작소리 0:50 20. 아시논매기 소리 1:44 21. 두벌논매기 소리 2:35 22. 세벌논매기 소리 1:13 23. 어사용 1:22
24. 한시창: 절구창 1:0525. 한시창: 두율 0:48 26. 한시창: 연주시 0:34 27. 어사용 1:18 28. 어사용 0:43
29. 상여소리 2:16 30. 달구소리 2:0131. 상여소리 2:21 32. 쾌지나 칭칭나네 2:57 총 60:01

CD-9 :
1. 어사용 2:18 2. 목단강 이종사촌 1:18 3. 가래소리 1:56 4. 이뽑는 소리 0:23 5. 새야 새야 파랑새야 0:12
6. 우렁각시 1:56 7. 물레소리 1:14 8. 가사창: 님 그리는 소리 1:23 9. 총각 손목 잡는 소리 0:30
10. 모심는소리 7:12 11. 처녀가 유혹하는 소리 5:54 12. 가사창: 명기타령 9:09 총 28:54
 
* 채록:조동일 교수 녹음: 1967년 -1976년
두꺼운 해설서에는 녹음시기와 장소 및 노래하는 사람(모두는 아님)의 자료가 있다.

* 귀중한 자료이기는 한데....... 일반인이 9장을 다 사기에는 부담이 된다.

(2002년 8월 18일) - 끝 -
 
* 객석 2002년 9월호에 쓴 음반소개 글입니다 :

조동일 교수 채록 '경상북도 구전민요의 세계'
------------------------------------
극락가 외 207곡
신나라뮤직 NSC-061(9CD:ADD)
** 별표 3 개 **

민요는 보통 통속민요와 향토민요(토속민요)로 대별한다. 통속민요는 직업적인 소리꾼에 의하여 불려지고, 향토민요에 비해 세련되어 있으며, 여러 지역에서 널리 불려진다. 반면 향토민요는 한 지역에 국한되어 불려지는 민요로 음악적으로 비교적 단순하고 소박한 것이 특징이다. 구전민요는 향토민요로 볼 수 있으나, 이 음반에는 향토민요로 볼 수 없는 시창, 송서, 가사, 시조, 통속민요 등도 실려 있어, 입으로 전해지는 민요라는 의미로 구전민요라고 명명한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이 음반은 1967년부터 1972년까지 안동, 영양, 청송, 영천, 성주, 봉화 등 경상북도 태백산맥 일대에 집중적으로 발달하여 전해지는 구전민요를 녹음한 것을 무삭제로 CD로 담은 것이다. 이 음원은 경북 영양군에서 태어난 현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조동일 교수가 직접 녹음기를 들고 다니면서 채록한 실황녹음으로 이미 전승이 소멸되었거나 사라진 경상북도의 귀한 소리들이다.

음반은 녹음한 년도 순으로 정리하여 9장 세트로 출반하였는데, 모두 208곡에 이르고 있다. 해설서에는 가사채록과 간단한 곡 설명이 있으며, 창자에 대해서는 자료가 없는 것도 있다. 자료 정리하느라고 애를 많이 쓴 음반이다.

귀중한 자료를 빠짐없이 알리기 위해 무삭제로 출반한 것은 의미가 있는 일이다. 현장녹음인 관계로 심한 기침, 매미소리, 개가 짖는 소리, 발동기 소리 등도 들어 있지만, 생활의 소리, 정겨운 고향의 소리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판매용으로 음반을 출반하는 것은 공공기관이나 교육기관이 감상용보다는 학술용 비매품으로 출반하는 음반과는 달라야 한다. 이 음반은 경상북도 등에서 비매품으로 출반했어야하는 음반이다. 그리고 이 중에서 감상용으로 적당한 곡을 골라 1-2장의 음반에 담아 판매용으로 출반하였더라면 정말 좋았을 것이다. 정말 가치 있는 자료적인 음반이지만, 일반인들에게는 경제적으로도 부담이 되는, 다 듣기에는 인내가 필요한 음반이다.
Best viewed with MS Explorer 5 at 1024x768 * Copyright ⓒ 2000 Changkwan Jung.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