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SITEMAP  
운영자게시판 질문게시판(국악음반) 방명록 광고게시판

/

쉼터  
국악음반-업데이트 기준 | 출반현황 음반 구입처 안내 나의글들 정창관
2025년신보 | 2024 | 2023 | 2022이전 | 모든음반
음반 관련정보 외
국악음반 | 고전음악 | 별에 관한글 | 기타
운영자소개 | 나에 관한 기사들
 
 

음반명[부제포함] <그리움의 노래>-베를린에 남겨진 20세기 초 한인의 소리-
음반 번호 NGCSACD-004 , CD 2 매
제작 / 기획사 국립국악원
발매 연도 2014
구 분 사가반
분 류 민요
업데이트 일시 2014-12-14
비 고
* 2015년 6월 5일 미국 Westminster Choir College Talbott Library 기증. * 2015년 11월 11일 미의회도서관 기증. * 2016년 5월 30일 미국 인디아나대학 전통음악도서관 기증.



 
<그리움의 노래>-베를린에 남겨진 20세기 초 한인의 소리-

SACD 1 & SACD 2 :
(트랙번호 / 원반번호 / 곡명한글 / 곡명영어 / 소리꾼 / SACD 1 연주시간 / SACD 2 연주시간)
1. Königsbrück 464 / 아리랑 / arirang / Grigori Kim 2:00 / 2:00

2. Königsbrück 465 /아리랑 / arirang / Grigori Kim 1:46 / 1:40

3. Königsbrück 466 / 수심가 / susimga / Grigori Kim 1:23/ 1:13

4. Königsbrück 467 / 애원성 / aewonseong / Grigori Kim 2:05 / 1:51

5. Königsbrück 468 / 수심가 / susimga / Grigori Kim 2:10 / 1:54

6. Königsbrück 469 / 기생점고 / gisaengjeomgo / Grigori Kim 1:40 / 1:38

7. Königsbrück 470 / 성주풀이 / seongjupuri / Grigori Kim 1:53 / 1:41

8. Münster 591 / 아리랑 / arirang / Stepan An 1:58 / 1:57

9. Münster 592-1 / 담바고타령 / dambagotaryeong / Stepan An 1:13 / 1:10

10. Münster 592-2 / 애원성 / aewonseong / Stepan An 0:52 / 0:51

11. Münster 593-1 / 백로타령 / baengnotaryeong / Stepan An 1:00 / 1:00

12. Münster 593-2 / 조국강산 / jogukgangsan / Stepan An 1:01 / 0:48

13. Münster 597-1 / 대한사람의 / daehansaramui / Gawriel Kang 1:01 / 1:03

14. Münster 597-2 / 염불 / yeombul / Stepan An 0:53 / 0:49
* 이상 11개의 원통음반에서 복각.

15. PK 555-1 / 아리랑 / arirang / Grigori Kim 1:20 / 1:19

16. PK 555-2 / 아리랑 / arirang / Grigori Kim 1:05 / 0:53

17. PK 556-1 / 수심가 / susimga / Grigori Kim 1:40 / 1:42

18. PK 556-2 / 수심가 / susimga / Grigori Kim 1:09 / 0:50

19. PK 557-1 / 애원성 / aewonseong / Grigori Kim 1:34 / 1:35

20. PK 557-2 / 애원성 / aewonseong / Grigori Kim 1:30 / 1:20

21. PK 558-1 / 수심가 / susimga / Grigori Kim 0:59 / 1:00

22. PK 558-2 / 수심가 / susimga / Grigori Kim 1:15 / 1:04

23. PK 559-1 / 기생점고 / gisaengjeomgo / Grigori Kim 0:44 / 0:45

24. PK 559-2 / 기생점고 / gisaengjeomgo / Grigori Kim 0:55 / 0:45

25. PK 560-1 / 성주풀이 / seongjupuri / Grigori Kim 1:32 / 1:33

26. PK 560-2 / 성주풀이 / seongjupuri / Grigori Kim 1:42 / 1:28

27. PK 749 / 아리랑 / arirang / Stepan An 3:15 / 3:08

28. PK 750-1 / 담바고타령 / dambagotaryeong / Stepan An 1:04 / 1:05

29. PK 750-2 / 백로타령 / baengnotaryeong / Stepan An 0:56 / 0:57

30. PK 750-3 / 숫자세기 / sutjasaegi / Stepan An 0:45 / 0:37

31. PK 751-1 / 조국강산 / jogukgangsan / Stepan An 1:29 / 1:30

32. PK 751-2 / 숫자세기 / sutjasaegi / Stepan An 0:43 / 0:36

33. PK 752-1 / 조국강산 / jogukgangsan / Stepan An 1:41 / 1:42

34. PK 752-2 / 숫자세기 / sutjasaegi / Stepan An 0:49 / 0:42

35. PK 767-1 / 애원성 / aewonseong / Stepan An 1:13 / 1:14

36. PK 767-2 / 염불 / yeombul / Stepan An 0:49 / 0:50

37. PK 767-3 / 애원성 / aewonseong / Stepan An 0:24 / 0:22

38. PK 767-4 / 염불 / yeombul / Stepan An 0:25 / 0:15

39. PK 779 / 국문뒤풀이 / gukmundwipuri / Gawriel Kang 3:27 / 3;19

40. PK 780-1 / 국문뒤풀이 / gukmundwipuri / Gawriel Kang 2:15 / 2:16

41. PK 780-2 / 대한사람의 / daehansaramui / Gawriel Kang 1:02 / 0:56

42. PK 840 / 만났도다 / mannatdoda / Nikolai Yu 2:45 / 2:40

43. PK 844 / 성주풀이 / seongjupuri / Nikolai Yu & Nikiphor Yu 2:50 / 2:43

44. LA 132 / 논어 / noneo / Chung Se Kim 3:49 / 3:38

45. LA 133 / 염불 / yeombul / Chung Se Kim 3:30 / 3:19 총 70:13 / 66:13
* 이상 17장의 유성기음반에서 복각.

* 제작:국립국악원.
 
* 국립국악원이 독일에 남이있는 자료(내용 아래 참조)를 입수하여 제작한 SACD음반이다. 2장으로 한 장에는 원음을 그대로 수록하고 한장에는 음원을 보정하여 수록하였다. 어제 독일문화원에서 개최된 학술대회에서 무료로 배부되었다. 해설서 아주 자세하고(영어. 독어로도 수록) 음원들이 오선보로 채록되어 실려 있다.(2014.12.14)

* 아래 그림 : 독일 베를린 민족학박물관 포노그람아카이브에 있는 11개 원통음반 중의 하나.
 
* 해설서에서 :

발간사

러시아로 이주한 한인들이 부른 민요와 독립군가 등이 제1차 세계대전이 한참이던 1916년 말부터 1917년까지 독일 내 포로수용소에서 녹음되어 베를린의 민족학박물관 포노그람 아카이브와 훔볼트대학교 라우트 아카이브에 남겨져 있습니다. 이렇게 중요한 기록들이 전해질 수 있었던 배경은 독일의 언어·민족·음악학자 40여 명으로 구성된 표음문자위원회(Phonographische Kommission)가 1915년에서부터 1919년까지 다양한 언어와 음악 등을 사용하는 종족의 음성을 기록한 작업 가운데 러시아 이주 한인들의 노래가 포함된 데 있으며, 이 녹음들은 에디슨 실린더와 유성기 음반으로 전해집니다.

1863년 연해주 일대에 이주한 13가구로부터 러시아 이주 한인의 역사가 시작됩니다. 1869년에는 한반도 북녘의 대기근으로 1만 여명이 이주하며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다, 1914년에는 이주 동포의 수가 6만 3천 여 명에 달하게 되어 블라디보스토크에 한인촌이 형성되기도 했습니다. 이로 인해, 그 당시 연해주 일대는 이주한 동포들의 생활 터전이면서 독립운동의 근거지가 되었습니다.

본 음반에는 러시아 이주민 2, 3세대에 해당하는 한인 중 러시아군인으로서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하였던 가브리엘 강(강홍식;평안도 강계 출신), 그리고리 김(김홍준), 스테판 안, 카리톤 김, 니콜라이 유, 니키페르 유 등이 부른 수심가, 애원성 등 서도민요와 독립군가가 수록되어 있습니다. 본 음원은 당시 전통음악의 양상과 고려인의 음악문화를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며, 독일의 원 자료는 1999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어 가치를 인정받았습니다.

러시아 한인들의 노래가 국립국악원 음반으로 다시 제작되어 널리 알려지기까지는 베를린 국립민족학박물관, 훔볼트대학교와 협업이 있었습니다. 두 기관과 더불어 주한 독일문화원의 적극적인 도움에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마지막으로 아낌없는 도움을 주신 Reimar Volker 박사님과 훔볼트대학교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 인사를 드립니다.

국립국악원장
김해숙
Best viewed with MS Explorer 5 at 1024x768 * Copyright ⓒ 2000 Changkwan Jung.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