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SITEMAP  
운영자게시판 질문게시판(국악음반) 방명록 광고게시판

/

쉼터  
국악음반-업데이트 기준 | 출반현황 음반 구입처 안내 나의글들 정창관
2025년신보 | 2024 | 2023 | 2022이전 | 모든음반
음반 관련정보 외
국악음반 | 고전음악 | 별에 관한글 | 기타
운영자소개 | 나에 관한 기사들
 
 

음반명[부제포함] 국립문화재연구소 소장음반자료시리즈 35 <동래야류>
음반 번호 KICP-078/9 , CD 2 매
제작 / 기획사 국립문화재연구소
발매 연도 2004
구 분 사가반
분 류 기타(연희)
업데이트 일시 2004-11-27
비 고



 
국립문화재연구소 소장음반자료시리즈 35 <동래야류>

CD 1 :

1. 제2과장 : 양반과장 (26:29)
2. 제4과장 : 할미영감과장 - 봉사경문(박덕업) (04:23)
3. 제4과장 : 할미영감과장 - 상도군소리 (03:55) 총 34:47

* 1967.12.5. 녹음. 박덕업 외

CD 2 :

1. 제1과장 : 문둥이과장 (02:51)
2. 제2과장 : 양반과장 (36:34)
3. 제3과장 : 영노과장 (04:21)
4. 제4과장 : 할미영감과장 (13:26)
5. 제4과장 : 할미영감과장 - 상도군소리 (04:08) 총 61:20

* 1970년대 초반 녹음. 박덕업 외. CD Director:양정환(한국고음반연구회)

* 기획.진행: 국립문화재연구소(대전: 42-860-9239)
 
* 이번에 나온 6종류 중 하나이다. 비매품이다. 구할 수 없다. 음악 감상과 해설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http://www.nricp.go.kr/Aod/text/35.pdf (2004.11.27)
 
* 문화재연구소 홈피에서 퍼옴 :

동래야류는 부산 동래 지방에 전승되어 온 가면극으로서, 중요무형문화재 제18호로 지정되었다. 놀이꾼의 대사나 전체적인 구성이 수영야류와 거의 유사하며, 연희자들 역시 수영야류를 보고 시작했다고 하므로 1870년대에 성립된 것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동래야류의 음악은 길놀이의 음악과 탈놀이에서 연주되는 음악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탈놀이 각 과장에서 연주되는 음악은 반주음악과 연희자들이 직접 부르는 노래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 반주 음악인 굿거리장단과 굿 장면의 독경소리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등은 전문연희패인 사당패나 절 걸립패의 음악과 직·간접적으로 교류하였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전반적으로 수영야류와 유사한 특징을 보이며, 양반과장에서는 판소리의 사설과 비슷한 대목이 있어 같은 영남형 탈놀이인 ‘오광대’류 탈놀이와도 음악적 내용을 공유하고 있다. 이번 음반은 1967년과 1970년대 초반의 동래야류 전 과장과 지금은 작고한 여러 연희자들의 노래가 수록되어 있다.
Best viewed with MS Explorer 5 at 1024x768 * Copyright ⓒ 2000 Changkwan Jung.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