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반 설명에서 :
심청가는 심청의 “효”를 중심으로 조선 후기 서민들의 삶을 자세히 살펴볼 수 있으며, 전승 5가 중에서도 특히 비장미(悲壯美)가 가장 두드러지는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오늘 선보이는 “보성소리 심청가”는 근대 이후 판소리계의 큰 맥을 이룬 중요한 소리제로, “강산제 심청가” 라고도 불린다. 서편제 박유전에 뿌리를 두고, 박유전 - 정재근 - 정응민 - 성창순 - 김명자로 이어졌으며 판소리계의 위대한 교육자였던 정응민에 의해 구축되었다. 보성소리 심청가는 특히 우아하고 절제된 아름다움을 지향하여 양반적 취향의 소리라고도 하며, 섬세한 음악적 어법으로 각광받고 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