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SITEMAP  
운영자게시판 질문게시판(국악음반) 방명록 광고게시판

/

쉼터  
국악음반-업데이트 기준 | 출반현황 음반 구입처 안내 나의글들 정창관
2025년신보 | 2024 | 2023 | 2022이전 | 모든음반
음반 관련정보 외
국악음반 | 고전음악 | 별에 관한글 | 기타
운영자소개 | 나에 관한 기사들
 
 

음반명[부제포함] 한국고음반연구회 음향자료선집(17) 이보형 소장 <김태문의 가야금과 대금음악>
음반 번호 HKYCD-17 , CD 1 매
제작 / 기획사 한국고음반연구회
발매 연도 2010
구 분 사가반
분 류 산조
업데이트 일시 2010-12-07
비 고
* 2011년 1월 27일 미의회도서관 및 미국 인디아나대학 전통음악도서관 기증(음반만 기증)



 
한국고음반연구회 음향자료선집(17) 이보형 소장 <김태문의 가야금과 대금음악>
- 한국음반학 제20호(2010)부록 CD-

■ 김태문 연주 가야금산조
1. 진양 05:34
2. 중모리 05:44
3. 중중모리 03:53
4. 자진모리 03:32
5. 휘모리 01:47
6. 엇중모리 00:24

■ 김태문 연주 가야금병창
7. 아서라 세상사 02:34
8. 토끼화상 03:37

■ 김태문 연주 대금풍류
9. 세령산 02:14
10. 도드리 05:34
11. 염불도드리 03:28
12. 타령 02:40
13. 굿거리 02:29

■ 김태문 연주 대금산조
- 산조 1 -
14. 진양조 05:31
15. 중모리 03:57
16. 중중모리 02:27
17. 자진모리 01:30

- 산조 2 -
18. 중중모리 02:20
19. 자진모리 01:35 TOTAL 61:09

* 음원제공: 이보형 | 보정 편집 마스터링: 양정환 | 원고: 이보형, 이진원, 권도희
진행: 정창관. 김인숙.

* 기획·제작: 한국고음반연구회 | 인쇄: 도서출판 무송 | 제조: 예술기획탑 · 화음
* 제조년월일: 2010년 11월 27일

* 이 책의 인쇄비 일부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지원금입니다. 지원에 감사드립니다.
* 이 음반의 무단 복제, 판매는 법률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한국고음반연구회가 매년 출간하는 학술지 '한국음반학'(2010)의 부록 CD음반이다. 연구회 이보형 회장님이 소장한 채록한 음원으로 음질은 양호하지 못하지만, 귀중한 음원이다. 부록음반은 처음부터 사가반으로 분류하였다.(2010.12.7)

* 아래 학술지 부록으로, 드림레코드(http://www.dreamrec.co.kr/shop/goods/goods_view.php?goodsno=79629&category=001013)에서 구할 수 있습니다.
 
* 해설서에서 :

'김태문의 가야금과 대금 음악’을 제작하며

2010년 '한국음반학'-제20-호의 부록음반은 민간의 기악 예술가로서 활동했던 김태문 선생의 가야금과 대금 음악을 선별하여 수록했다. 김태문 선생은 일제강점말기 대전의 율계에서 가야금, 거문고, 대금 등의 악기로 풍류를 주도했으며, 김창조의 제자였던 문씨에게 배운 가야금산조를 비롯하여 가야금풍류, 가야금병창 등을 채보 수록한 '가야금교본'(1959년)을 발간하여 학계의 관심을 모은 바 있다. 하지만 그의 음악은 대중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고, 그에 대한 평가도 그리 많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다. 김태문이 직접 연주한 녹음에는 김창조제의 가야금산조와 가야금병창 이외에 그의 장기였던 대금풍류와 대금산조 등이 담겨 있어 과거 민간음악의 면모를 두루 보여주는 자료로서 음악사적 가치가 크다.

'한국음반학'의 부록 음반은 본 연구회의 회장인 이보형 선생님께서 황무지와 같은 여건 속에서도 선구자적 안목으로 수집하신 유성기음반과 우리음악의 현장을 통해 직접 채록하거나 수집한 자료 외에도 중요한 녹음자료가 발견이 되면 이를 입수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한 라이브러리를 통해 학술적인 가치가 높은 자료를 취사선택하여 매년 제작하고 있다. 음질보다는 학술적 가치가 높은 이러한 자료는 차례로 음반으로 제작되어 우리 시대의 학술자료로서 여러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음반은 1980년경 녹음된 것으로 김태문 선생의 가야금산조, 가야금병창, 대금풍류, 대금산조가 수록되어 있다. 김태문의 음악을 오늘날의 입장에서 보면 소박할 수도 있겠지만, 경상도에서 태어나서 대전과 진주에서 활동했던 율객의 음악을 통해 지역적 특색을 보이며 전승되었던 민간음악의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한국고음반연구회
Best viewed with MS Explorer 5 at 1024x768 * Copyright ⓒ 2000 Changkwan Jung.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