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SITEMAP  
운영자게시판 질문게시판(국악음반) 방명록 광고게시판

/

쉼터  
국악음반-업데이트 기준 | 출반현황 음반 구입처 안내 나의글들 정창관
2025년신보 | 2024 | 2023 | 2022이전 | 모든음반
음반 관련정보 외
국악음반 | 고전음악 | 별에 관한글 | 기타
운영자소개 | 나에 관한 기사들
 
 

음반명[부제포함] 천상의 목소리 조주선의 두번째 앨범 <여정>
음반 번호 EKLD-0376 , CD 1 매
제작 / 기획사 EMI/독립군기획
발매 연도 2004
구 분 준국악반
분 류 국악가요+
업데이트 일시 2004-05-30
비 고



 
천상의 목소리 조주선의 두번째 앨범 <여정>

1. 나그네 / 김승국 작사. 최지혜 작곡. 4:44

2. 연꽃 피어 오르리 / 덕신 스님 작사. 김희경 작곡. 4:48

3. 우리네 좋을 씨고 / 강상구 작사 작곡. 4:39

4. 어머니 / 이희성 작사. 강상구 작곡. 5:27

5. 사래밭아리랑 / 반영규 시. 김희경 작곡. 7:43

6. 가시리 / 최지혜 작사 작곡. 3:24

7. 직녀의 눈물 / 조주선 작사 작곡. 3:28

8. 연화 / 강상구 작사 작곡. 5:00

9. 사철가 / 단가. 4:16

10. 심청가 중 아기 어르는 대목 / 2:36

11. 논개 / 변영로 시. 백성기 작곡. 6:29 총 52:39

* 소리: 조주선. 북:김청만. 국악관악:이용구. 국악타악:유경화. 모듬북:이경섭. 가야금:장지영. 아쟁:윤서경. 25현 가야금:문양숙. 가야금:윤선정. 코러스:김주현. 황아연. 이주라. 최은선. 양악연주자: 김대훈(바이올린) 외 다수.

* 제작:독립군기획.
 
* 판소리꾼 조주선의 2번째 앨범이다. 우여곡절 끝에 선보이게 되어 <여정>이라는 제목이 붙었다. 해설서에는 Korean Traditional Pop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국악 & 서양음악 연주자들도 엄청 많이 참여한 음반이다. 제작비는 많이 든 음반같은데, 독립군기획은 처음으로 국악음반을 제작한 것 같은데, 제작비는 건질 수 있을 지 걱정스럽다. 해설서에는 가사가 실려 있다.(2004.5.30)
 
* http://kimgoo.com/enjoymusic.html에서 가져왔습니다. "

'여정'이란?

양악과 국악의 단순 결합을 벗어나 국악의 세계화를 겨냥한 음반, '여정'.
'여정'은 새로운 월드 뮤직 브랜드인 Korean Traditional Pop의 첫 출발입니다.
대금, 소금, 가야금이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와 더불어 자유롭게 서로를 넘나들고, 북과 장구의 리듬이 드럼과 베이스와 절묘하게 교류하는 양악과 국악의 멋진 화학 반응을 감상 할 수 있습니다.

이 풍성하고 맛깔스런 만찬의 레시피를 얻기까지 때론 간이 안 맞고, 때론 설 익고 또, 때론 태우기를 여러 번.
우리 국악에 대한 사랑과 자부심 그리고 문화 독립의 의지로 여기까지 왔습니다.
만주 벌판을 달리던 '무장 독립군'처럼 우리 국악으로 세계를 휘달리고 싶은 '문화 독립군'의 첫 행군에 진군가를 불러주십시오.

감상포인터

<여행지에서 느끼는 외로움이나 시름 따위 의 미묘한 나그네의 심정>이라는 사전적 의미 외에도
'정'의 의미가 담겨있다고 할 수 있다.

타이틀곡 <나그네>가 가장 대표적인 느낌의 곡일 것이다.
서정적 피아노 선율과 애절한 보이스가 잘 조화를 이뤘으며, 간주의 가야금과 대금은 고향을 연상케 한다. 이 곡은 최지혜 작곡가의 심혈을 기울인 곡인 만큼 장엄하고 깔끔한 느낌을 동시에 전해준다.

이어 <연꽃 피어오르리> 는 10년 전에 조주선씨가 불러 어느정도 알려진 곡이다.
불교의 색채가 풍부한 곡으로 이번에 대중에게 더 다가가기 위해 아쟁과 해금 선율을 바이얼린과 첼로로 바꿨다.
동서양의 자연스런 만남과도 같은 곡이다.

세 번째곡 <우리네 좋을씨고>는 늘 듣던 전통 우리가락이다.
'쾌지나칭칭나네'만큼이나 쉽고 흥겨운곡으로 고향의 모습과 통일염원을 노래했다.
민족 대화합의 장에는 언제나 이곡이 불려지리라 확신한다.

네 번째곡 <어머니>는 엄마를 그리워하며 어린 시절을 보낸 한 젊은이가 밤새 써내려간 문구에 곡을 붙였다.
어버이날과 잘어울리는 곡이다.

다섯 번째곡 <사래밭 아리랑>은 우리 어머니들의 3대에 걸친 한을 노래했다.
무반주 보컬 솔로에 자연의 소리가 계절별로 반주를 대신했다. 실험적인 곡으로 영화의 한 장면 처럼 영상이 그려진다.
이 곡을 부르면서 가수가 울었고, 마스터링 과정에서 외 할머니가 생각난 엔지니어도 울면서 완성한 곡이다.

여섯 번째곡 <가시리>는 만화적 풍경에 창법만 국악으로 연주되었다. 그런데 예쁘고 묘한 매력을 느끼게 한다.

일곱 번째곡 <직녀의 눈물>은 조주선씨 본인이 직접 가사와 곡을 붙였다. 애절하고 소금의 매력이 넘치는 곡이다.
그녀의 다재다능항한 끼가 물씬 풍기는 곡이다.

여덟 번째곡 <연화>는 연꽃의 모습을 노래했다. 대금과 애절한 첼로 연주가 일품인 곡이다.

이어서 <사철가>와 <심청가-아기어르는 대목>은 전통 판소리다.
수 많은 악기 편성의 곡들과 대조를 이루기위해 배치한 곡으로 중요무형문화재 고수 김청만 선생이 북을 잡았다.
'사철가'의 경우 가사가 일품으로 수많은 세월동안 우리 선조 들이 불렀던 곡이다. 인생의 깊은 의미를 느낄 수 있다.
'심청가 중-아기어르는대목'은 심봉사가 심청을 안고 젖동냥하며 부르는 판소리로 아버지의 마음을 밝고 경쾌하게 풀어냈다.

마지막으로 <논개>는 총 연주시간이 6분이 넘는 대곡이다. 변영로시에 작고가 백성기씨가 곡을 붙였다.
중모리, 굿거리, 자진모리로 이뤄진 곡편성과 간주의 느낌은 마지막을 장식할 곡으로 충분하다.
특히 중반의 바이올린과 보컬의 주고받는 듯한 선율은 서로 악기들이 이야기를 주고 받는듯하다.

이제 그 험난했던 '여정'의 세계로 떠나보자.
Best viewed with MS Explorer 5 at 1024x768 * Copyright ⓒ 2000 Changkwan Jung. All Rights Reserved.